반응형

- 주식 용어 우선주란,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 알아보기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유가증권시장에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하는 일이 발생 했는데요. 

이와 함께 코스닥에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이드카는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를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라고 하는데요.


블랙 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서킷브레이커와 같이 생긴 제도라고 합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로 한국에서의 사이드카는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이 5% 이상 변동(1분간 지속)할 경우 발동된다고 합니다.


사이드카는 일단 발동이 되면 발동시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되며 5분 후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 체결이 된다고 합니다.



주식 시장의 후장 매매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으며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편 서킷브레이커는 사이드카 이후로 발동되는 증시안정수단으로 영어로는 첫 글자를 따서CB라고도 합니다.  


서킷브레이커느 총 3단계로 1단계에서 종합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8%이상 하락한 경우 발동되고,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며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됩니다.



2단계의 경우 전일 대비 15%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대비 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됩니다.

1단계와 마찬가리로 20분간 모든거래가 중단됩니다.

3단계는 전일 대비 20%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됩니다.


발동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주식거래가 종료됩니다. 



주식시장의 3단계까지 서킷브레이커가 걸리는 일을 거의 드문일이고, 1단계도 거의 드문일이나 이번 코로나사태, 유가 폭락으로 인해 경제침체가 우려되며 세계 증시가 불안정해지면서 연이은 서킷브레이커 발동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